작용 | 연구결과 | 연구논문참조 |
---|---|---|
신기능저하를 예방하는 효과 | 돌외(gynostemma pentaphyllum)를 주로 하는 약재혼합물이 만성신부전에서 신기능저하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. Combination therapy of chitosan, gynostemma, and motherwort alleviates the progression of experimental rat chronic renal failure by inhibiting STATI activation |
Oncotarget.2018 Mar 20;9(21):15498-15511. Published online 2018 Jan 10. doi:10.18632/oncotarget.24125 |
돌외(gynostemma pentaphyllum)가 indomethacin에 의해 유발되는 위장관독성과 신독성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. Phytopreventative effects of Gynostemma pentaphyllum against acute Indomethacin-induced gastrointestinal and renal toxicity in rats |
Phytother res. 2007 Jun: 21(6) 523-30. doi:10.1002/ptr.2086. | |
돌외(gynestemma pentaphyllum)가 고요산혈증 쥐실험에서 요산배출을 높혀 신장기능을 회복시킨다. Gypenosides Inhibits Xanthine Oxidoreductase and Ameliorates Urate Excretion in Hyperuricemic Rats Induced by High Cholesterol and High Fat Food (Lipid Emulsuion) |
Med Sci Monit, 2017; 23: 1129-11-40. Published online 2017 Mar 4, doi: 10.12659/MSM902317 |
작용 | 연구결과 | 연구논문참조 |
---|---|---|
돌외의 기타 기능성 개발 가능성 | 돌외잎이 염증을 개선시켜서 세포를 재생하는데 효과가 있음. | Food Chem. 2012 May 1:132(1):125-33.doi:10.1016/j.foodchem.2011.10.043.Epub 2011 Oct 19. |
돌외잎의 주성분인 지페노사이드가 관절염에서 인터루킨-1 베타를 억제하여 연골세포의 염증 진행을 줄임 | J Biochem Mol Toxicol. 2017 Sep:31(9).doi:10.1002/jbt.21926 Epub 2017 Apr 19. | |
돌외잎이 squalene epoxidase 1 유전자를 활성화시켜서 항진균작용을 함 | Plant Physiol Biochem. 2016Dec: 109;230-237. doi: 10.10166.plaphy.2016.10.002. Epub 2016 OCT 6. | |
돌외잎이 인슐린 분비를 조절해서 당뇨병을 개선시킴. |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.2015:2015:120572. doi:10.1155/2015/120572. Epub 2015 Jun 23. | |
돌외잎의 주성분인 지페노사이드가 당뇨쥐에서 혈당을 낮추는 효과가 있음. | Arch Pharm Res.2016 Feb:39(2):221-230.doi: 10.1007/s12272-014-0441-2.Epub 2014 Jul 29. | |
돌외잎의 주성분인 지페노사이드가 제2형 당뇨에서 인슐린 민감성을 높혀서 혈당조절을 개선시킴. | J Nutr Metab. 2013:2013:765383.doi: 10.1155/2013/765383.Epub 2013 Jan 31. | |
돌외잎의 주성분인 지페노사이드가 제2형당뇨환자에서 설포닐유리아(대표적인 당뇨약)와 병합치료를 했을때 혈당강화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남. |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.2012:2012:452313. doi: 10.1155/2012/452313. Epub 2012 01 17. |
작용 | 연구결과 | 연구논문참조 |
---|---|---|
돌외의 기타 기능성 개발 가능성 | 돌외잎의 주성분인 지페노사이드가 죽상동맥경화증을 예방함. 상피세포의 고사와 산화스트레스를 개선해서 혈관을 보호함. | Int J Mol Sci. 2017 Feb;18(2).pii: E77. doi: 10.3390/ijms18020077. |
돌외잎의 주성분인 지페노사이드가 고콜레스테롤, 고지방식에 의해서 유발된 고요산증에서 요산의 배출을 높혀서 요산수치를 낮춤. | Med Sci Monit. 2017 Mar 4;23:1129-1140. | |
고지혈증 쥐에서 돌외잎을 스타틴(고지혈증 치료제)과 병행했을때, 단일치료보다 치료효과가 더 큼. | PLoS One. 2013 Nov 1;8(11):e78731.doi:10.1371/journal.pone0078731.eCollection 2013. | |
돌외잎이 고지혈증과 당뇨를 개선시킴. | J Pharm Pharm Sci. 2006;9(3):281-91. | |
돌외잎추출물이 비만에 효과가 있음. | Obesity (Silver Spring). 2014 Jan;22(1):63-71. doi:10.1002/oby.205.39.Epub 2013 Sep 5. | |
돌외잎의 주성분인 지페노사이드가 신정허혈과 재관류에서 신장세포를 보호함. | Exp Ther Med. 2016 Apr;11(4):1499-1505. Epub 2016 Jan 29. | |
돌외잎의 주성분인 지페노사이드가 심혈관 허혈 및 재관류 환자에서 심장세포의 고사를 막아서 심장 손상을 줄어줌. | Cell Physiol Biochem. 2016;3(1):123-36. doi: 10.1159/000445611.Epub 2016 Jun 20. |